【개발환경】
•
사용언어: Python, Java, Kotlin
•
개발환경 및 도구: Flask, Spring, Git, Jenkins, Docker, AWS, Kubernetes, PostgreSQL
【오시면 이런 업무를 하게 되실 거예요!】
•
패스오더 서비스에 필요한 기능 개발 및 성능 최적화하여 서비스가 원활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업무를 수행해요.
•
클라우드, 컨테이너 기반으로 마이크로 서비스를 구성하고 기능을 추가해요.
•
기존 시스템의 아키텍처와 코드를 개선하고 확장성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요.
•
실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를 설계하고 구현해요.
【이런 분을 찾고 있어요!】
•
MSA 기반 백엔드 개발을 경험해 보신 분
•
Python, Kotlin, Java 중 하나 이상의 언어를 활용하여 개발한 경험이 있으신 분
•
RDBMS를 잘 활용하여 비즈니스 데이터를 모델링 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
•
event driven micro service 아키텍쳐 상에서 설계 및 개발 경험이 있으신 분
•
Git, SVN등 버전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사용 경험 및 CI/CD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빌드 및 배포 경험이 있으신 분
•
단순히 주어진 개발을 해내는 것보다, 주도적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해 솔루션을 제안할 수 있는 분
【이런 분이면 더 좋아요!】
•
팀과 함께 성장하며 지식을 공유하는 문화를 지향하시는 분
•
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개발 실무 경험이 있는 분
•
NoSQL, 메시지 큐, 비동기 프로그래밍 등 최신 개발 트렌드에 대한 학습 또는 활용 경험이 있으신 분
•
요구사항 분석 및 다른 개발자와 협업을 위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가지신 분
이런 여정을 거치게 되실 거예요!
•
Step 1. 서류전형
• 지금까지 어떤 경험을 하셨고, 어떤 길들을 걸어오셨는지 알기 위한 단계입니다.
• 정해진 형식은 없어요. 본인을 가장 잘 표현해 주는 형식이면 돼요!
•
Step 2 . 사전 테스트(필요 시 생략)
• 사전 테스트(코딩테스트)는 서류 합격 통보 후 3일 이내 진행돼요.
• 포지션과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어요.
•
Step 3. 직무면접
• 직무에 대한 지식과 경험에 대해서 얘기를 나눠요.
• 그동안 겪어온 경험들에 대해 얘기 나누며, 어떻게 접근하고, 이해하고, 실행하고 있는지 서로 알아가는 단계입니다.
•
Step 4. 문화면접
• 가장 좋은 복지는 동료라는 믿음으로, 저희와 함께할 한분 한분을 신중하게 모시고 있어요.
• 저희와 One Team이 되기 위해 서로가 추구하는 가치관에 대해서 알아가는 시간이에요.
• 지나온 경험들, 프로정신, 스킬업, 팀워크 등과 관련된 내용을 위주로 이야기를 나눠요.
•
Step 5. 서류, 레퍼런스체크
• 최종 합격 전, 서류 체크를 먼저 진행하고 있어요.
• 필수는 아니며 경우에 따라 레퍼런스 체크를 진행하고 있어요.
• 레퍼런스 체크를 진행하게 될 시에는, 사전에 지원자님께 반드시 동의를 구하고 진행해요.
•
Step 6. 최종합격 및 처우협의
• 처우협의는 최종 합격 전 진행돼요.
• 모든 면접 전형의 일정 및 입사일 등은 지원자님의 상황을 배려해 드리고 있어요.
#추가참고사항
•
지원 포지션이나 경력, 기타 상황에 따라 3가지 전형의 진행 순서가 변경될 수 있어요.
•
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, 비대면 or 대면 등 유동적으로 진행해요.
•
Step 2 단계부터는 합격 여부와 관계 없이 꼭 결과를 안내해 드리고 있어요.
최종합격 시 참고 사항
•
신입 (6개월), 경력 (3개월)의 수습기간이 있어요.
•
수습기간은 함께 일하며 서로가 한 방향으로 함께하고 싶은 확신이 드는지 확인하는 기간이에요.
•
수습기간에도 급여 100% 지급 및 동일한 복지가 적용되며, 이후 정규직으로 계약을 진행하고 있어요.